맨위로가기

스바루 플레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바루 플레오는 스바루에서 생산했던 경자동차로, 1998년부터 2018년까지 두 세대에 걸쳐 판매되었다. 1세대 모델은 1998년 비비오의 후속으로 출시되어 세미 톨 왜건 스타일을 개척했으며, 다양한 엔진 라인업과 모델 변화를 거쳤다. 2007년 스텔라 출시 이후 밴 모델만 판매되다 2009년 단종되었고, 이후 다이하츠 미라를 OEM 공급받아 2세대 모델이 출시되었다. 2세대 플레오는 2010년 출시되어 다이하츠 미라의 배지 엔지니어링 모델로 판매되었으며, 승용 모델은 2013년에 단종되고 2018년에 판매가 종료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바루의 차종 - 스바루 BRZ
    스바루 BRZ는 스바루에서 생산하는 후륜구동 스포츠 쿠페로, 소형, 경량, 저중심 설계를 특징으로 하며 수평대향 복서 엔진과 토요타의 직분사 기술이 결합된 엔진을 탑재, 토요타 86과 공동 개발되었고 모터스포츠 분야에서도 활발히 활동하며 2세대 모델까지 출시되었다.
  • 스바루의 차종 - 스바루 레거시
    스바루 레거시는 1989년부터 생산된 스바루의 중형 승용차로, 새로운 수평대향 4기통 엔진과 혁신 기술을 적용하여 혼다 어코드, 토요타 캠리 등과 경쟁했으며, 5도어 왜건과 4도어 세단 형태로 전륜구동과 풀타임 4륜구동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 2010년 도입된 자동차 - 아우디 A7
    아우디 A7은 아우디 A6를 기반으로 제작되어 매끈한 루프 라인을 가진 4도어 쿠페 스타일 스포츠백으로, 메르세데스-벤츠 CLS 클래스, BMW 6 시리즈 그란 쿠페와 경쟁하며 다양한 엔진 라인업과 고성능 모델을 갖추고 2세대부터는 아우디 최초로 무빙 라이트가 적용되었으며 중국 시장에는 롱 휠베이스 세단형 A7L도 출시되었다.
  • 2010년 도입된 자동차 - 폭스바겐 아마록
    폭스바겐 아마록은 폭스바겐에서 생산하는 중형 픽업트럭으로, 2010년부터 생산된 1세대 모델은 다양한 엔진과 구동 시스템, 페이스리프트를 거쳤으며, 2022년부터 생산되는 2세대 모델은 포드 레인저와 플랫폼을 공유하고 안전성과 파워트레인이 향상되었다.
  • 1998년 도입된 자동차 - 기아 카니발
    기아 카니발은 기아자동차에서 생산하는 미니밴으로, 여러 세대를 거치며 국내외 시장에서 인기를 얻었으며, 다양한 엔진 라인업과 승차 인원, 그리고 첨단 편의 사양을 갖춘 것이 특징이다.
  • 1998년 도입된 자동차 - 스마트 포투
    스마트 포투는 다임러와 스와치 그룹이 개발한 초소형 자동차로, 후륜구동 방식과 트리디온 안전 셀을 특징으로 하며, 가솔린 엔진 기반 소형차로 개발되었으나 현재는 전기차로 판매되고 있다.
스바루 플레오 - [자동차]에 관한 문서
차량 정보
차종경차
다른 이름다이하쓰 미라 (2010–2018)
제조사스바루 (1998–2010)
생산 기간1998–2018
전신스바루 비비오
후속스바루 플레오 플러스
관련 차종스바루 스텔라
스바루 R2
스바루 R1
스바루 루크라
차체 및 구동 방식
차체 형태5도어 미니밴 (1998–2010)
구동 방식전륜구동/4륜구동
크기
전장3395 mm
전폭1475 mm
전고1550–1625 mm
축거2310 mm
엔진 및 변속기
엔진658cc EN07 I4
변속기5단 수동변속기

2. 1세대 (1998년~2010년)

1998년 가을, 일본 경자동차 시장의 변화에 따라 비비오의 후속 차종으로 스바루에서 출시되었다.[1] 스즈키 왜건 R, 다이하쓰 무브, 혼다 라이프등의 경쟁 모델들이 1998년 10월에 풀 모델 체인지된 것에 대응하기 위한 조치였다. 비비오의 인기가 하락세였기 때문에 새로운 이름인 "플레오"로 출시되었다.[1]

초기에는 톨 왜건형 모델로 홍보되었으나, 전고 1,575mm는 일본 시장에서 톨 왜건으로 보기에는 어려웠고, 해치백으로 보기에도 애매한 높이였다. 그러나 이러한 특징은 톨 왜건과 해치백 사이의 '''세미 톨 왜건'''이라는 새로운 분류를 개척하는 데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았다.[1] 또한, 타워 주차장 이용이 어려운 톨 왜건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전고를 일본 타워 주차장 규격에 맞춘 1,550mm로 수정하기도 했다.[1]

1세대 플레오는 다양한 엔진 라인업을 제공했다. 자연 흡기 엔진, 스포티한 슈퍼차저 엔진, 그리고 1리터급 차량과 유사한 성능을 목표로 하는 "마일드차지" 버전이 있었다.[1]

1999년에는 복고풍 스타일의 '''네스타'''와 스포티한 에디션 '''LS'''가 출시되었다. 2000년에는 '''플레오 니콧'''이 출시되었다.[2] 2001년에는 더욱 업그레이드된 스포티한 버전인 '''RS'''가 출시되었으며, '''RM'''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2007년 후속 모델인 스텔라가 출시되면서 승용 모델은 단종되었고, 밴 모델만 남았다. 2009년 도요타가 스바루의 대주주가 되면서 플레오는 단종되었다.[1] 이후 다이하쓰의 미라를 OEM 공급받아 플레오라는 이름을 사용했지만, 이는 사실상 스바루 R2의 후속 모델이라고 할 수 있다.

2. 1. 개발 배경 및 특징

1998년 가을, 일본 경자동차 시장의 변화에 따라 비비오의 후속 차종으로 스바루에서 출시되었다.[1] 스즈키 왜건 R, 다이하쓰 무브, 혼다 라이프등의 경쟁 모델들이 1998년 10월에 풀 모델 체인지된 것에 대응하기 위한 조치였다. 비비오의 인기가 하락세였기 때문에 새로운 이름인 "플레오"로 출시되었다.[1]

초기에는 톨 왜건형 모델로 홍보되었으나, 전고 1,575mm는 일본 시장에서 톨 왜건으로 보기에는 어려웠고, 해치백으로 보기에도 애매한 높이였다. 그러나 이러한 특징은 톨 왜건과 해치백 사이의 '''세미 톨 왜건'''이라는 새로운 분류를 개척하는 데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았다.[1] 또한, 타워 주차장 이용이 어려운 톨 왜건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전고를 일본 타워 주차장 규격에 맞춘 1,550mm로 수정하기도 했다.[1]

1세대 플레오는 다양한 엔진 라인업을 제공했다. 자연 흡기 엔진, 스포티한 슈퍼차저 엔진, 그리고 1리터급 차량과 유사한 성능을 목표로 하는 "마일드차지" 버전이 있었다.[1]

1999년에는 복고풍 스타일의 '''네스타'''와 스포티한 에디션 '''LS'''가 출시되었다. 2000년에는 '''플레오 니콧'''이 출시되었다.[2] 2001년에는 더욱 업그레이드된 스포티한 버전인 '''RS'''가 출시되었으며, '''RM'''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2007년 후속 모델인 스텔라가 출시되면서 승용 모델은 단종되었고, 밴 모델만 남았다. 2009년 도요타가 스바루의 대주주가 되면서 플레오는 단종되었다.[1] 이후 다이하쓰의 미라를 OEM 공급받아 플레오라는 이름을 사용했지만, 이는 사실상 스바루 R2의 후속 모델이라고 할 수 있다.

2. 2. 모델 종류 및 변화

스바루 플레오는 1998년 10월 9일 일본에서 처음 판매를 시작하여 비비오를 대체했다.[1] 비비오는 10월 31일 단종될 때까지 플레오와 함께 판매되었다.[1]

1998년 등장 당시(전기형) 모델은 F, L, LM, RM, RS, 밴형인 A로 나뉘었다. 1999년 6월에는 복고풍 스타일의 '''네스타'''가 출시되었고,[2] 10월에는 스포티한 에디션인 '''LS'''가 출시되었다.[2] 1999년 도쿄 모터쇼에서는 네스타의 전면부를 현대화한 LPG 구동 프로토타입이 "플레오 니콧"이라는 이름으로 공개되었지만,[2] 2000년 12월에 정식 출시되었다.[2]

2000년 10월 마이너 체인지(중기형)를 통해 F, L, LM, LS, RM, RS, NICCOTO, NESTA G, NESTA RG, A 모델로 변경되었다. 2002년 10월 마이너 체인지에서는 F, FS, L, LM, LS, RM, RS, NICCOTO, NESTA E, NESTA GS, A 모델로 변경되었다.

2001년 5월에는 더욱 업그레이드된 스포티한 버전인 '''RS'''가 출시되었으며, 이 모델은 때때로 '''RM'''이라고 불리기도 한다.[7]

2006년 6월 이후에는 F와 밴형인 A만 남았다. 2007년 6월, '''F''' 모델이 단종되면서 '''밴 A''' 모델만 남았다.

2009년 12월, 플레오는 단종되었다.

2010년 3월에는 2세대 모델(다이하쓰 미라 OEM)이 출시되었으며, F, L, L LIMITED, CUSTOM R, CUSTOM RS, A 모델로 구성되었다.

초기에는 "에어로・필드・캐주얼・엘레강트"라는 4종류의 버전이 준비되었다. 후에 유럽풍의 "네스타" 시리즈와 스바루 360을 모티브로 한 "니콧"을 추가했다. 적모 전용 모델도 존재했다.

"RS"는 비비오 RX-R의 후속 모델로, 차체 중량은 비비오보다 약 100kg 더 무거웠다. 2001년 10월 개선을 통해 차체, 엔진, 서스펜션이 개선되었다.

2. 3. 기술적 특징

1세대 플레오는 1998년 10월 9일 일본에서 처음 판매를 시작하여 비비오를 대체했다.[1] 1999년 6월에는 복고풍 스타일의 '''네스타'''가 출시되었고,[2] 10월에는 스포티한 에디션 '''LS'''가 출시되었다. 2000년 12월에는 '''플레오 니콧'''이 출시되었다.[2] 2001년 5월에는 업그레이드된 스포티 버전 '''RS'''가 출시되었다.

엔진은 모두 배기량 660cc・직렬 4기통의 EN07형을 채용했다. SOHC자연 흡기 엔진, 리터카 수준의 동력 성능을 가진 SOHC 마일드 차지 엔진(저압 과급형 슈퍼차저), 스포츠 타입의 SOHC 슈퍼차저 엔진(고압 과급형 슈퍼차저), 더욱 고성능의 DOHC 슈퍼차저 엔진 4종류가 설정되었다[6]

2004년 1월의 일부 개량으로 한때 자연 흡기 엔진만 있었지만, 2005년 1월에 SOHC 마일드 차지 엔진이 부활했다. 그러나 스텔라의 등장에 따라 2006년 6월에 다시 마일드 차지 엔진은 소멸하고, 자연 흡기 엔진만 남게 되었다. 배출 가스 규제 변경에 따라 "F" 등급의 자연 흡기 엔진의 촉매가 변경되었고, 그 결과 저회전 영역에서의 토크가 저하되었다.

변속기는 5단 MT와 CVT가 있다. 스바루는 CVT의 개량에 앞서 ECVT를 실용화했었기에, 이 시기까지 경차 밴에 CVT를 채용한 것은 스바루뿐이었고, 렉스 콤비, 렉스 밴, 비비오에 이어 2009년 당시에도 플레오가 유일했다. 또한, 클래스 유일의 4륜 독립 현가를 채용하고, 전 그레이드의 프론트 브레이크에 벤틸레이티드 디스크 브레이크를, "RS"에는 리어 디스크 브레이크를 채용했다. 특히 "RM"과 "RS"는 CVT에 7단 스포츠 시프트(의사적인 수동 모드)를 채용하여, 주행 성능을 중시했다.

2. 4. 판매 및 단종

1998년 가을, 일본 경자동차 시장의 변화에 맞춰 스바루는 비비오의 후속 모델로 "플레오"를 출시했다.[1] 당시 스즈키 왜건 R, 다이하쓰 무브, 혼다 라이프 등 경쟁 모델들이 1998년 10월을 기점으로 풀 모델 체인지되었고, 비비오의 인기가 하락세였기 때문에 새로운 이름이 필요했다.

초기에는 전고 1,575mm로 톨 왜건(전고 1.6m 이상)도, 해치백(전고 1.4m대)도 아닌 어중간한 크기로 어려움을 겪었다. 그러나 스바루는 이를 '세미 톨 왜건'이라는 새로운 분류로 홍보하며 시장을 개척했다.[1] 또한, 타워 주차장 규격에 맞춰 전고를 1,550mm로 수정하는 전략을 펴기도 했다.

1998년 10월 9일 일본에서 처음 판매를 시작했다.[1] 1999년 6월에는 복고풍 스타일의 '네스타' 모델이 출시되었고,[2] 10월에는 스포티한 'LS' 에디션이 출시되었다. 2000년 12월에는 '플레오 니콧'이 출시되었다.[2] 2001년 5월에는 더욱 업그레이드된 스포티 버전인 'RS'가 출시되었다.

2007년 후속 모델인 스텔라가 출시되면서 승용 모델은 단종되었고, 밴 모델만 남았다. 2009년 도요타가 스바루의 대주주가 되면서 플레오는 단종되었다.[1] 이후 다이하쓰의 미라를 OEM 방식으로 공급받아 플레오라는 이름을 사용했지만, 이는 사실상 스바루 R2의 후속 모델이었다.

1995년 11월 도쿄 모터쇼에 출품된 "엘캐파" 컨셉트 카는 플레오 디자인의 기초가 되었다. 1998년 10월 9일 발매 당시, i-CVT가 설정되었고, 간이 트랙션 컨트롤 기능[8]도 갖추었다. 1999년 6월 23일에는 클래식한 디자인의 파생 모델 "네스타"가 발매되었다. 2000년 10월 6일 일부 개량[9]을 통해 유럽 충돌 안전 기준을 만족시켰다. 2001년 10월 9일 일부 개량[10]에서는 "RS"의 외관을 변경하고, 엔진 및 서스펜션 등을 개선하여 주행 성능을 향상시켰다. 2004년 1월 22일 일부 개량으로 R2 발매에 따라 등급이 축소되었다. 2005년 1월 24일 "L" 등급이 부활했다.[11] 2008년 9월 사양 변경으로 배출 가스 규제를 만족시켰다.

2010년 3월 주문 중단 및 생산이 종료되었고, 4월 19일 스바루 공식 홈페이지 게재가 종료되었다. 6월에는 유통 재고분 등록이 완료되어 판매가 종료되었다.

3. 2세대 (2010년~2018년)

2세대 플레오는 2010년 4월 20일 일본에서 처음 판매되었다. 도요타의 스바루에 대한 기업 투자의 결과로, 2세대는 다이하츠에서 제조되었으며, 다이하츠 미라의 배지 엔지니어링 모델이다.[3]

2세대 플레오는 2008년 4월 10일에 발표된 토요타 자동차・다이하츠 공업과의 업무 제휴 강화를 위한 일환으로, 다이하츠 미라를 베이스로 OEM 공급을 받은 모델이다[15][16]。 미라 베이스로 변경되면서 전고가 1,530mm(「플레오 커스텀」은 1,540mm)으로 더욱 낮아져, 대부분의 입체 주차장에 들어가는 크기가 되었다. 상용차인 "플레오 밴"은 CVT 차량을 폐지하는 대신 4AT 차량을 설정하고 (5MT 차량은 계속 설정), 도어 수는 3도어가 되었다. 또한, 엔진 등이 변경되면서 저공해 성능과 연비 성능이 향상되었다.

라인업은 "플레오"·"플레오 커스텀"·"플레오 밴"의 3가지 유형을 준비한다. "플레오"는 약 2년 10개월 만에 설정된 승용 모델이며, "플레오 커스텀"은 풀 모델 체인지에 맞춰 신설된 스포티 스타일리쉬 모델이다. 그레이드 체계는 "플레오"가 "F (미라 "L" 상당[17])"・"L (동 "X" 상당)"・"L Limited (동 "X"Limited"" 상당)"의 3 그레이드, "플레오 커스텀"이 "R (미라 커스텀 "X" 상당)"과 "RS (동 "RS" 상당)"의 2 그레이드를 설정한다.

장비는 "플레오" 모든 그레이드에서 틸트 스티어링, 운전석 시트 리프터, 프런트 시트 벨트・숄더 어저스터가 표준으로 장착되어 있으며, "X"Limited"" 이외에는 "조절 가능 팩"으로 메이커 옵션 설정되어 있는 "미라"와 차별화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L Limited" 이외의 그레이드는 "조절 가능 팩" 장비 분의 가격 (15,750엔)이 추가되어 있다. "플레오 커스텀"은 장비 추가 외에, 오디오리스 사양이 표준[18]이므로 "미라 커스텀"에 비해 5,250엔 저렴하게 설정되어 있다.

"플레오 밴"은 선대와 마찬가지로 "A (미라 밴 "TXSpecial"" 상당)"만 있지만, 키리스 엔트리, 집중 도어 록, 도난 경보 장치 등을 장착한 "그레이드 업 패키지"가 설정된다 (미라 밴 "TX"에 옵션의 스모크드 글라스와 유스풀 팩을 장착한 것과 동일 사양). 또한, 미라의 최상위 그레이드인 "G"SMART DRIVE Package"(2011년 7월 일부 개선으로 폐지)에 상당하는 그레이드는 설정되지 않는다.

디자인은 육연성(무츠라보시)의 CI 마크나 차명 엠블럼 변경 정도로, 베이스 차량에서 큰 변경은 없다[19]。차체 색상은 "미라" 전용 색상인 "플럼 브라운 크리스탈 마이카"가 설정되지 않고, 4색 전개로 된다[20]

3. 1. 개요

3. 2. 특징

2세대 플레오는 2010년 4월 20일 일본에서 처음 판매되었다.[3] 도요타의 스바루에 대한 기업 투자의 결과로, 이 2세대는 스바루 대신 다이하츠에서 제조되었으며, 다이하츠 미라의 배지 엔지니어링 모델이다.[3]

3. 3. 모델 종류

1998년 등장 당시(전기형)에는 F(기본형), L(고급형), LM(최고급형), RM(스포티형), RS(고급 스포티형), A(밴형)이 있었다.

2000년 10월 마이너 체인지(중기형)를 거치면서 F, L, LM, LS, RM, RS, NICCOTO, NESTA G, NESTA RG, A 모델이 추가되었다.

2002년 10월 마이너 체인지에서는 F(염가형, FS가 생기며 지위 강등), FS(기본형), L, LM, LS, RM, RS, NICCOTO, NESTA E(NESTA G에서 이름 변경), NESTA GS(NESTA RG에서 이름 변경), A 모델로 변경되었다.

2006년 6월 이후에는 F(승용형, 07.07까지 존속), A(밴형, 10년 초까지 존속)만 남았다.

2010년 3월 2세대(다이하쓰 미라 OEM)는 F(기본형), L(고급형), L LIMITED(최고급현), CUSTOM R(소포티 모델), CUSTOM RS(고급형 스포티 모델), A(밴형)으로 구성되었다.[3]

3. 4. 판매 및 단종

2세대 플레오는 2010년 4월 20일 일본에서 처음 판매되었다.[3] 도요타의 스바루에 대한 기업 투자의 결과로, 이 2세대는 스바루 대신 다이하츠에서 제조되었으며, 다이하츠 미라의 배지 엔지니어링 모델이다.[3]

2011년 7월 19일에는 일부 개량을 통해 "F Special"・"L Special" 등급이 추가되었다.[21] AWD・CVT 차량은 엔진 개량을 통해 연비 기준을 달성했다.[21] 밴 "A"는 AT 차량 대신 CVT 차량이 부활했다.[21] EBD 부착 ABS는 전 차량에 표준 장착되었다.[21] 터보 차량인 커스텀 "RS"는 폐지되었다.

2012년 12월 10일에는 저연비 사양 파생 차종인 "플레오+(플러스)"가 발표되었다.[22] 2013년 2월에는 승용 모델의 CVT 차량이 플레오+로 통합됨에 따라, 5MT 차량인 "F Special"만 남게 되었다.[22] JC08 모드에 대응하여 연비 기준을 달성했다.[22]

2018년 3월 2일 판매가 종료되었으며, 파생 차종인 플레오 플러스를 제외한 플레오는 2대 19년 6개월 동안 판매되었다. 스바루의 경차 라인업에서 경형 보닛 밴과 MT 경승용차는 소멸했다.

4. 차명 유래

"플레오"는 "더욱 풍요롭게, 그리고 완벽하게"라는 의미를 가진 라틴어에서 파생된 조어이다.[25] 사람들의 생활을 풍요롭게 하는 차이기를 바라는 소망이 담겨 있다.[25] 초대 모델에 설정되었던 네스타(NESTA)는 "'''NE'''W '''STA'''R(신성)"을 의미하는 조어이다. 니콧(NICOT)은 "니콧(ニコッと)" 웃는 듯한 이미지를 표현하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Pleo https://www.youtube.[...] 2007-03-20
[2] 간행물 Katalog Samochody Świata 2003 Print Shops Prego - Polska Sp. z o.o. 2002
[3] 웹사이트 Subaru to stop making Kei Cars http://www.autoblog.[...] Autoblog 2008-04-16
[4] 문서 デアゴスティーニジャパン 週刊日本の名車第54号23ページより。
[5] 문서 このことから初代プレオは軽セミトールワゴンに分類されることもあるが、厳密な軽セミトールワゴンとして登場するのは2001年のマイナーチェンジで[[立体駐車場]]に入る高さである全高1,550mmの「スマートルーフ」仕様が発売されてからである。
[6] 문서 ちなみに、プレオはサンバーを除くスバルのスーパーチャージャー車で唯一ボンネットのエアスクープが存在しない(少数限定のコンプリートカーであるトミーカイラモデルには存在した)。
[7] 문서 MT車の追加、MT車は軽量フライホイール (ヴィヴィオRX-R比)メタルガスケット化による高圧縮比(9.0)、それに伴うハイオク仕様、専用設計のスポーツサスペンション、カムプロフィール変更、プーリー比変更、冷却水の流速アップ、熱価8番のイリジウムプラグ、液体封入強化エンジンマウント、リーンホースメント・トーボード板厚アップ、Fバンパービーム追加、クロスメンバー外側板厚アップ、フロントピラーインナー板厚アップ、サイドシルインナー・サイドレールインナー板厚アップ、Fクロスメンバーを補強(2WD車のみ)、スタビライザーの強化、形状変更、リヤサスブッシュのハードブッシュ化、油圧パワステの流量特性を変更、タイヤサイズのアップなど。
[8] 문서 [[空転|ホイールスピン]]を感知すると[[歯車比|ギア比]]を高めて駆動力を抑える機能。介入の度合いは少ない。
[9] 웹사이트 平成12年10月6日 https://www.subaru.c[...] 2018-11-08
[10] 웹사이트 Press Information https://www.subaru.c[...] 2018-11-08
[11] 문서 R2の新車販売が想定以上に苦戦したという経緯がある。
[12] 문서 [[ダイハツ・ウェイク|ウェイク]]がベースであるが、軽スーパートールワゴンベースであるため全高が高い(1,850mm)こと、2シーター専用で、両側スライドドアを装備しているなど、プレオバンとは異なる点がある。
[13] 문서 価格を抑えつつ利益を上げるため、他社の軽ボンバンは押し並べて2ボックス・ハッチバックがベースとなっているが、ヴィヴィオの生産を終えたスバルにはそれが無かった。
[14] 문서 2代目プレオ+とは異なり、2代目ミライースのビジネス向けグレードの「B」に相当するグレードはプレオ+には設定されない。ちなみに初代プレオプラスにはプレオバンに匹敵する最廉価(法人向け)グレード「E」(ミライース「D」に相当。いずれも当該グレードは5ナンバー車)のグレードが設定されていたがプレオバン販売終了時点ではすでに廃止された。
[15] 문서 同日に[[ダイハツ・タントエグゼ|タントエグゼ]]をベースにOEM供給を受けた軽トールワゴン「[[スバル・ルクラ|ルクラ]]」を発売している。
[16] 문서 そのため、給油口が先代までの車両右側から車両左側に変更されている。
[17] 문서 2011年7月の一部改良に伴い、現在は「X」の5MT車相当。
[18] 문서 ミラカスタムはインテグレートCD・AM/FM付ステレオが標準装備で、オーディオレス仕様はオプション設定。
[19] 문서 「[[スバル・ディアスワゴン|ディアスワゴン]]([[ダイハツ・アトレー|アトレーワゴン]]のOEM車)」や「ルクラ」と同様。
[20] 문서 乗用モデルは2013年2月-2014年6月までは同一ラインナップだった。それ以前は「ミラ」で設定されているホワイトが「プレオ」では設定できないという違いがあった。「プレオバン」は「ミラバン」同様に発売時からオフホワイト→ホワイトの設定がある。
[21] 문서 「グレードアップパッケージ」の装備内容は、ミラバンでのスモークドガラスとユースフルパックに相当する。
[22] 문서 ミラとミライース同様、プレオ+で担えないMT需要を無印のプレオで吸収する形。
[23] 문서 デアゴスティーニジャパン週刊日本の名車第96号22ページより
[24] 보도자료 SUBARU 後付けの「ペダル踏み間違い時加速抑制装置」を発売 https://www.subaru.c[...] 株式会社SUBARU 2020-05-29
[25] 웹사이트 プレオのネーミングの由来を教えてください。 http://www.subaru.jp[...] SUBARU公式サイト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